본문 바로가기

History

조선왕실 계보도

 

 

 

 

왕이름이 종 조 군 으로 끝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

 

조(祖)와 종(宗)은 문무(文武)와 관련된 게 아니라 

혈통을 새로 세우면 조(祖)라 하고, 그 혈통을 그대로 이어나가면 종(宗)이라고 하는 겁니다. 

대개 혁명을 일으켜서 새로운 혈통이 되다 보면 조(祖)가 무(武)와 관련된 것처럼 보이겠지만... 

적통이 단절되어 먼 혈통에서 왕을 옹립한 경우도 조(祖)가 붙죠.

 

 

조선시대 왕의 명칭에서 조와 종의 차이

 

개국군주 또는 국난 치른 왕은 '祖',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은 '宗'

 

조선시대 왕의 명칭을 보면 태조· 세조처럼 '조'(祖)를 쓰기도 하고, 태종· 세종처럼 '종'(宗)을 붙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어떤 경우에 '祖'와 '宗'을 쓰게 될까

 

임금이 죽은 뒤 종묘(宗廟)에 신위를 모실 때 정하는 존호(尊號)를 '묘호'(廟號)라고 합니다. 

묘호에는 종(宗)과 조(祖), 두 가지가 있는데 생전의 공적을 평가하여 붙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편찬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대체로 나라를 처음 일으킨 왕이나 나라의 정통이 중단된 것을 다시 일으킨 왕에게는 '조(祖)'를 썼고,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은 '종(宗)'을 붙였습니다.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를 태조로 칭한 것이 대표적이지요. 

 

반정(反正)을 통해 즉위했거나 재위시에 큰 국난을 치른 임금들도 대체로 조(祖)의 묘호를 가지게 됐습니다.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와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 홍경래의 난을 치른 순조 등이 그렇고, 

반정은 아니지만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도 같은 범주에 들어갑니다.

연산군을 몰아내고 즉위한 중종도 인종 초에 '조'로 칭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중종이 성종의 직계로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에 '종'으로 하는 것이 옳다는 견해가 우세하여 중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조'가 창업이나 중흥을 이룬 왕에게 붙인다는 원칙 때문에, '종'보다 격이 높다는 관념이 은연중에 유행했습니다. 

영조와 정조· 순조는 본래 영종과 정종· 순종이었으나, 고종 때 영조· 정조로, 철종 때 순조로 개정한 것입니다. 

 

참고로 신라 왕 가운데 묘호를 쓴 이는 태종 무열왕밖에 없고, 고려 때는 태조 왕건만 조(祖)를 묘호로 썼습니다.

 

 

정조의 어진

 

묘호는 원래 황제만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무열왕 묘호를 태종으로 정하자, 당나라 고종이 시비를 걸어왔습니다.

 

"너희 신라가 해외의 작은 나라로서 태종이란 칭호를 사용하여 천자의 칭호를 참람하게 썼으니, 

그 뜻이 불충하므로 속히 그 칭호를 고치라."

 

'삼국유사'엔 무열왕이 삼국을 통일한 위업을 이뤘기 때문에 태종이라고 썼다고 맞서서 그 뜻을 관철시켰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다른 왕들은 묘호를 못 쓰게 됐다고 합니다.

 

그러면 고려와 조선시대에 어떻게 이런 묘호를 쓸 수 있었을까요?

 

고려 전기, 중국은 송·요·금이 서로 각축하면서 절대 패자(覇者)가 없었기에 고려가 황제를 일컬을 수 있는 국제환경이 조성됐습니다. 그러나 원나라에 항복한 이후에는 충렬왕· 충선왕 등으로 묘호를 쓰지 못했습니다. 

 

조선은 중국의 충실한 제후국임을 표방했으나 때로 중국의 협박을 받아가면서도 묘호만은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송기호 서울대 교수는 "중국에 조공을 바치고 책봉을 받는 제후국이면서도 내부적으로 자존의식을 키우는 이중성을 갖고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사대(事大)와 자주(自主)의 교묘한 줄타기'라는 거지요.

 

(출처: 조선시대 왕의 명칭에서 조와 종의 차이)

 

 

 

조선시대 어진 근황

 

임진왜란때 종묘에 있던 어진들 상당수 소실되서 없어지고 태조 어진, 문종 어진, 세조 어진, 덕종 (세조의 장남이자 왕세자. 인수대비 남편. 성종의 아버지. 사후 추존)어진만 남았었다고 실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후 전주 경기전과 강화행궁에서 세종어진 포함 옮겨와서 다시 구색을 차렸고 병자호란때 한 번더 피해를 입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어진이 소실되었는지는 기록에 없습니다. 그리고 선조, 인조, 효종, 현종은 어진을 남기지 않았구요. 숙종 때부터 다시 어진을 만들었다고 하네요.

한참 후 1900년 선원전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어떤 어진이 소실되었는지 여부는 기록에 없습니다. 여튼 병자호란과 위 화재로 인해서 문종과 덕종 어진이 소실되어 사라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후 고종이 1919년 사망하고 3년상을 치룬 후인 1921년 전국 각 궁궐에 분산되어 있던 어진들을 창덕궁 선원전으로 옮겨 모셨는데,  태조, 세조, 원종(인조 아버지. 사후 추존),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헌종 아버지. 사후 추존), 헌종, 철종, 고종의 어진만이 남아있었다고 하네요. 이후 순종 어진 만들어진것이 추가되었구요.

여튼. 625전쟁때 위 선원전에 모셔둔 어진들을 모아서 부산으로 피난을 보냈는데(위 사진의 리스트)..

1954년 용두동 대화재때 어진 15점과 유물 3400여점을 모아둔 창고도 불타버려서 상당수가 소실되었습니다.

 

태조의 어진

살아남은 것은 전주 경기전에 모셔진 태조의 어진, 부산 화재에서 살아남았지만 

 

묵서와 용안이 소실되어 신원 미상의 어진 두점, 용안이 소실된 태조, 순조, 문조(익종)의 어진, 신분을 확인할 묵서 부분이 소실됐다가 최근에 확인된 정원군 순종 어진, 얼굴, 신원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영조, 철종, 고종 어진이 전부입니다.


부산에서 얼굴이 소실된 태조 어진은 전주 경기전에 있는 청룡포본을 참고해 복원했고 철종 어진은 얼굴이 무사했기에 복원이 가능했지만..  

 

순조 어진과 문조 어진은 얼굴이 거의 다 타서 복원 불가... 

 

세조와 정조의 어진이 완전히 불타버렸지만, 순종의 어진을 그렸던 김은호 화백이 사망한 후 유품 중에 세조 어진을 본따 그린 밑그림이 발견되서 복원하는 중에 있습니다.

 

[출처 : 세종대왕어진의 실체]

 

 

 

 

 

 

 

 

 

역대 조선 왕들의 질병과 죽음

 

최고의 의료와 식생활을 누렸던 조선 왕들의 평균수명은 47세. 과다한 영양 섭취에 반해 적은 운동량, 그리고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렸기 때문으로 현대 성인병의 원인과 일치한다. 60세 환갑잔치를 치른 왕은 태조(74세)·정종(63세)·광해군(67세)·숙종(60세)·영조(83세)·고종(68세) 등 6인뿐이다. 균형 있는 식생활과 적당한 운동, 그리고 스트레스 관리는 예나 지금이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