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

구석기시대문화 [ culture of old stone age, 舊石器時代文化 ]


주로 제4기 플라이오세(世)에 존재했으며, 뗀석기를 도구로 사용하여 수렵·채집(採集)을 생업으로 한 인류 문화사상의 한 단계.



라스코 동굴벽화는 1963년 이후 일반인에게 공개가 되지 않으며 복제 동굴 라스코 II 만이 공개되고 있다.



각 지역에 따라서 상이한 특색을 가지고 있고 연대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그 전반적 개관은 불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유라프리카의 온대지역·아열대지역에서의 문화 발전을 하나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현대에도 같은 정도의 문화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것은 일종의 정체적(停滯的) 문화로 해석되고 있다.


처음으로 구석기 존재가 알려지게 된 것은 1846년 부셰드 페르테가 북(北)프랑스의 아브빌 부근 솜 하곡의 플라이오층에서 절멸된 종류의 동물 유골과 함께 플린트의 인공물을 발견한 데서부터 비롯되었다. 구석기시대라는 용어는 1865년 영국의 J.러벅(1834∼1913)에 의해 명명되었는데, 뜻은 간석기시대와 반대되는 뗀석기시대라는 것이다.


구석기시대의 편년(編年)은 유럽에서 먼저 제정되었는데, 특히 선사 유적이 많은 프랑스 선사 유적의 발굴결과에 따라서 결정되었다. 63년 E.라르테(1801∼71)는 구석기시대의 편년을 3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시기는 아브빌문화·아문화·무스티에문화의 순이고, 제2시기는 오리냐크문화와 샤텔페롱문화, 제3시기는 로제리 오트와 마들렌문화로 모두 석기 유형에 따라 특징지워진다.


라르테가 주장한 3시기의 분류는 여러 번 수정되었고, 72년 G.모르티예(1821∼98)는 구석기시대를 아문화·무스티에문화·솔뤼트레문화·마들렌문화 등의 4시기로 주장함으로써 모르티에 편년이 설정되었다. 83년 그는 셸레안의 연속물에 대한 기준을 소개하였고, H.브뢰유는 이 문제에 관하여 중요한 수정을 가하였다.


1906년 브뢰유는 무스티에문화와 솔뤼트레문화 사이에 오리냐크문화가 반드시 개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 셸레안이라는 명칭을 아브빌문화로 대치하였다. 32년경 그는 한 이론을 내세웠는데, 거기에 따르면 구석기시대의 시작은 클랙턴문화·르발루아문화·타야크문화·무스티에문화 등의 격지석기문화와 아브빌문화 ·아문화 등의 주먹도끼문화가 나란히 발전된 것으로 보았다.


이후부터 세계 각처에서 많은 구석기시대 유적을 발굴하여 오늘날에는 구석기시대를 크게 3시기로 나누고 있으며, 타지방의 구석기 편년도 이 프랑스 편년을 기준으로 하여 시도되었다. 그 뒤 영국·독일·벨기에 등에서도 연구가 진전되었으며, 특히 전기구석기문화에서는 종래의 주먹도끼[握斧]를 중심으로 한 문화와는 다른 계통의 것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H.오버마이어는 서방의 몸돌석기문화권에 대하여 동방의 격지석기문화권이 병존하였음을 주장하고, 양 문화가 서로 관련되면서 변화하였다고 지적하였다. 또 아프리카·아시아 지역의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더욱 복잡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에는 외날찍개문화권이 별도로 설정되어, 3대 문화권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구석기시대는 약 60만 년 전에 시작되었다고 하며, 인류의 전역사 중 최후의 1∼2만 년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대에 걸쳐 있었고 자연환경의 변화도 극심하였다. 각지의 생활내용은 단조로웠으며, 변화도 적어 수렵·채집의 경제단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구석기시대 전기는 아브빌문화·아문화·르발루아문화와 클랙턴문화, 구석기시대 중기는 무스티에문화, 구석기시대 후기는 페리고드문화·오리냐크문화·솔뤼트레문화·마들렌문화 등으로 구분된다.



구석기시대문화 전기


전기 구석기시대의 문화는 하이델베르크인(人) 등 원생인류(原生人類)에 의하여 영위되었다. 그들의 생산력은 극히 낮았으며, 20∼30명 정도가 공동체를 조직하여 하안단구[각주:1](河岸段丘) 또는 구릉지대에 거주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 내용은 남겨 놓은 석기에 의해서 알려지고 있다.


(1) 몸돌[각주:2]석기문화: 인류 최초의 도구로서 원석기[각주:3](原石器)의 존재가 문제가 되었으나, 이것이 과연 인공적인 석기인지 또는 자연의 타열(打裂)에 의한 것인지는 미확인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확실하게 인공물이라고 인정되는 가장 오래된 유물은 아프리카의 카푸문화·올두바이문화의 석기이다. 이 시기의 가장 오래된 공구는 175만 년 전의 것으로, 남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올두바이계곡에서 발견되었다. 주먹만한 자갈에서 작은 격지를 한 편 또는 서너 편 떼어낸 석기인데, 이러한 석기를 냇돌석기라고 부른다. 이 석기는 남방원인(南方原人)에 의해서 제작되었다.


또한 이러한 냇돌석기의 제작술은 ‘아브빌리안’이라는 최초의 주먹도끼를 만들도록 하였다. 이 주먹도끼는 부싯돌로 만든 조잡하고 큰 것으로 양면 모두 가공되었지만, 둘레의 날 부분[刃部]은 고르지 못한 상태이다. 그리고 한쪽 끝이 맨손으로 쥐기에 알맞도록 조금 굵게 되어 있어서 나무를 쪼개거나 흙을 파는 일 등 여러 용도에 사용되었다.


아브빌문화는 카푸문화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귄츠·민델 빙기(氷期)에 해당된다고 추정한다. 그 시기에는 난계(暖系)의 동물군을 수반하며 간단한 격지석기도 사용하였다. 또한 아브빌문화는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하여 특히 발달하였으며, 북아프리카·사하라·콩고·동아프리카 등에 있었고, 남아프리카에서는 스텔렌보스문화의 최고기(最古期)가 이에 속한다.


유럽의 석기도 아프리카로부터 파생된 것이며, 유사한 석기는 아시아의 마드래스 부근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이 문화는 지금부터 약 60만 년 전에 해당된다. 그 후 민델 빙기 동안에는 아문화가 출현하였다. 이 문화는 자바 원인계(베이징원인 포함)의 작품으로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마지막 간빙기(리스 뷔름 간빙기)까지 지속되며, 몸돌 또는 격지로 만들어진 정교한 주먹도끼로서 특징지워진다. 다른 장소에서는 클랙턴문화와 타야크문화의 격지석기가 아문화의 주먹도끼와 공존하였다. 이문화는 르발루아문화 석기 제작시까지 영향을 주었다.


(2) 격지석기문화: 이 문화는 아프리카에는 없고, 유럽 또는 유라시아에 존재한 계통의 문화로서, 가장 오래된 예로서는 영국의 템스강 하구 부근의 유적을 대표하는 클랙턴문화가 있다. 양면석기는 적고 격지는 살이 두꺼웠으며, 형태도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핵석(核石)에서 깨낸 박리각(剝離角)은 90°를 넘었다. 수정과 가공이 간단하였으며, 중부 프랑스 타야크문화는 이와 유사한 문화이다.


다음의 르발루아문화는 파리 근교의 르발루아 페레 유적을 표식유적(標式遺蹟)으로 하고 있다. 클랙턴문화에서는 몸돌로부터 격지를 떼어낼 때 소용되는 만큼의 격지를 떼어내기 알맞도록 몸돌에 조정을 가하는 일이 없었지만, 르발루아문화에서는 미리 타격면에 조정을 가하여 떼어냈다.


따라서 박리각은 90°전후가 되었고, 박면은 편평하고 배면(背面)에는 갈라진 흔적이 남아 있었으며, 삼각형의 첨두형(尖頭形)·광폭형(廣幅形)·세장형(細長形) 등 여러 형태의 박격지를 제작하였다. 아시아에서는 특수한 석기상(石器相)이 있었는데, 거친 냇돌석기가 대표적인 것이다. 이 문화에 속하는 것은 중국의 저우커우뎬[周口店]문화, 미얀마의 아니아티안문화, 자바의 파지타니안문화, 말레이시아의 탐파니안문화와 인도의 소안문화 등이 있다.



구석기시대문화 중기


중기 구석기시대의 대표적 문화는 프랑스의 도르도뉴강(江)의 무스티에 동굴 유적에 나타나 있는 무스티에문화이다. 최후 간빙기에서 뷔름 빙하기 초기에 걸치는 시기로서 온대계와 한대계 2종의 동물군을 수반한다. 이 2계통의 문화가 격지 계통의 문화에 의해서 통일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격지석기에서는 직접 손으로 쥐고 쓰는 찌르개[尖頭器]와 다른 도구에 달아서 쓰는 돌칼[側用石匕], 즉 라크루아를 대표로 하며 원시적 골각기도 존재하였다. 이 시기는 석기제작 관점에서 보면 격지석기의 계통적 제작으로 특징이 나타난다. 격지석기는 구석기시대 전기부터 나타나고 있으므로 두 시기 사이에 명확한 한계점(限界點)을 설정하기는 어렵다.


마지막 간빙기 때와 뷔름 빙하기의 초기 중간, 즉 약 5만 년 동안 유럽 구석기시대 중기의 석기는 무스티에문화 집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에는 르발루아 석기 제작기술과 클랙턴·아문화 전통을 가진 여러 가지 석기상이 공존하였다. 예를 들면, 독일의 알트뮈리안문화, 이탈리아의 퐁티니안문화, 알프스 지역의 빌트키르힐린문화, 근동의 자브로드안문화 등이다. 인도의 소안 후기문화와 중국 딩춘[丁村]문화는 유럽의 무스티에문화와 같은 시기에 속한다.


아프리카 북쪽에서 르발루아-무스티에 석기가 발견되고, 이 대륙 남쪽에서 특수한 석기가 알려졌는데, 그것은 로디지아와 케냐의 스틸바이안 전기에 속하는 포레스미스안문화와 상고엔문화 등이다. 구석기시대 중기의 가장 현저한 특징은 네안데르탈인이 제작한 모든 석기가 비교적 유사하다는 것이다.

전기보다 격지석기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였는데, 긁개·찌르개·톱니석기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이 시기에는 아주 느린 정도이지만 문화도 진전하였고, 수렵법도 발전하여 집단적으로 행하는 단계까지 왔다. 주거도 일부는 동굴생활을 하기 시작했으며, 죽은 사람의 매장이나 주술(呪術) 등도 행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석기시대문화 중기 (두산백과)



구석기시대문화 후기


슴베찌르개 : 구석기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찌르개로 돌날을 만들때 생긴 날카로운 조각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잔손질을 해서 만든 슴베를 자루와 결합하여 창으로 사용했다.

최후의 뷔름 빙하기는 3단계의 소빙기(小氷期)와 그 사이의 소간빙기로 구분되는데, 제1 소간빙기에서 플라이오세의 종말까지 격지석기 문화계에서 나온 가늘고 긴 돌날[石刃]석기를 특색으로 하는 여러 문화가 발생하였다. 그것은 전대와는 다른 호모 사피엔스가 활약한 최성기의 수렵 ·채집 문화였다. 즉, 활 ·투창 ·투석 ·함정 등으로 매머드 ·들소 ·동굴곰 ·야생마 ·순록 ·코뿔소 등을 수렵하였으며, 또한 어로도 시작하였다. 그에 따른 주술적 요소가 증가하여 제사 ·매장 ·신체장식 등도 행하게 되어 생활 내용이 복잡해졌다.


이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3만 5000년 전에 시작된 구석기시대 후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뷔름의 온대성기후가 시작되는 BC 2만 5000년경 말에 오늘날과 같은 기후조건이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기후의 변화는 구석기시대 중기 말에 새로운 유형의 석기 출현과 구석기시대 후기의 석기 중 무스티에문화인 긁개의 계속적인 출현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이 마지막 시기에는 뼈연장이 출현하였는데, 거의 없다가 갑자기 출현한 것으로 석기제작 방법에 있어서도 여러 유형의 석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긴 격지를 계통적으로 떼어 내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구석기시대 후기의 사람은 전기와 중기의 사람보다 지혜가 발달되어 간접 타격법으로 긴 격지를 떼어 내어 석기를 만들었다. 간접 타격법은 석재 위에 매개물을 놓고, 그 매개물에 타격을 가하여 격지 특히 긴 격지를 얻는 방법이다. 이때 남겨진 몸돌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긴 격지석기는 밀개 ·조각기 ·칼 ·송곳 등이었다. 긴 격지는 그 길이가 그 자체 넓이의 2배를 초과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석기의 제작자는 현생인류(現生人類)로 그들의 활동 자체가 종족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표준이 되었다. 그들이 생활한 가장 오래된 유적 내에서 그들의 집자리, 염료사용 흔적, 장신구 등이 발견되어, 예술이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프랑스에는 이 시기 초에 샤텔페롱문화가 있었으며, 중부 유럽의 스젤레티안문화, 이탈리아의 베르나르디니안문화, 러시아의 코스티엔키문화, 근동과 중동의 에미리안문화와 바라도시티안문화가 있었다. BC 3만 년경 오리냐크문화가 유럽과 근동에서 전(前)문화와 교체되었는데, 근동의 그러한 문화를 때로는 앙테리안문화라고 부른다. 몇몇 지역에서 오리냐크 문화전통이 지속되었고, 그라베트문화는 BC 2만 5000년경 서유럽에서 돈 계곡까지 전파되었다.


이 무렵 오스트리아에서 러시아까지 특수한 문화가 발생하였는데, 이것을 파부로비안문화라고 한다. 솔뤼트레문화는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발생한 특수한 문화인데, BC 1만 8000~1만 5000년에 이 지역에 정착되었다. 곧 이어서 마들렌문화 전기 또는 바드굴리안문화 그리고 지중해 북서쪽의 지역문화로서 살페트리안문화가 출현하였다. 마들렌문화의 발전은 BC 9000년경 유럽 북방의 온대기후 시기까지 지속되었다.


독일 북쪽의 함부르지안문화와 영국 그레스월리안문화는 이탈리아와 프로방스의 로마넬리안문화와 같이 마들렌문화 말기에 속한다. 근동의 오리냐크문화를 계승한 아틀리티안문화는 이 지역에서 발생한 중석기문화와 더불어 변형된 것이 확실하였다. 아프리카 북쪽의 르발루아-무스티에문화는 지역에 따라 구석기시대 후기에도 지속되었다. 그것이 앙테리안문화이다.


카푸문화와 이베로-모루지안문화는 그 편년이 1만년 이상으로 올라간다. 콩고의 도코시안문화, 케냐의 카푸문화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에 의하여 동일연대로 측정되었다. 스틸바이안문화, 상고엔과 포레스미안문화는 남아프리카 구석기시대 후기 전기간을 통하여 지속되었다. 이 시기의 아시아 석기에 관해서는 아직 충분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다만 자바의 나간동문화, 중국의 오르도스문화, 시베리아의 안가라와 아퐁토바-고라문화를 열거할 수 있을 뿐이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에 의해서 여러 가지 연대를 얻었지만 앞으로 더 확인하여야 될 것 같다.


한편, 아메리카 북쪽에 최초의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것은 유럽 구석기시대 후기 초와 같은 시기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아메리카 내 가장 오래된 독립문화는 산디아문화라고 하는 것으로서 약 1만 2000년 전에 해당된다. 그러나 BC 1만 년부터 근동에서는 중석기가 출현하고, 최초로 식량을 생산한 사실이 밝혀졌다. 기타 지역에서는 계속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면서 전(全) 구석기시대 동안을 수렵 ·어로 ·채집으로 생활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후빙기에도 연장되어 최말기구석기문화라 일컫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석기시대문화 후기 (두산백과)



한국의 구석기시대문화


한국의 구석기 유적

한국에서는 1964년 이후 충남 공주군 석장리(石壯里) 금강 북안에서 구석기시대 문화포함층이 연세대학 학술조사단에 의해서 발굴되기 시작하였는데, 지층(地層)이 27개의 층위로 형성되어 있고,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문화층도 11개나 되었다. 제1층의 문화층은 구석기시대 전기, 즉 민델 빙하기, 제2∼6층의 문화층은 구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걸친 시기, 즉 리스 빙하기에서 제3간빙기까지의 시기, 그 위층의 문화층은 구석기시대 후기 및 중석기시대로 추정되었다.


출토된 석기에는 제1∼4층에서 외날도끼 ·쌍날도끼 등이 있었고, 제5∼6층에서 밀개 ·주먹도끼 등이 있었으며, 제7∼10층에서 밀개 ·새기개 등이 있었다. 그리고 제11층에서 새기개 ·밀개 등이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유럽의 구석기시대 후기문화의 하나인 오리냐크문화와 닮은 점을 보여 주는 것들이다.


73년에는 제주 빌레못동굴에서 큰곰 ·붉은사슴 ·노루 등의 화석골(化石骨)과 함께 인공박편(人工剝片) ·골제(骨製) 밀개 ·목탄 등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구석기시대 중기에서 뷔름 빙하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해 연세대학 조사단이 충북 제천시에서 점말동굴을 발굴하였는데, 그곳의 퇴적층에서 골기 ·석기 등과 함께 동굴곰 ·호랑이, 꽃사슴의 변종, 사향노루 등 홍적세 때의 동물 화석골이 다량 발견되어 구석기시대 문화의 편년과 당시 자연환경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 일본에서 일본인이 발간하는 고고학 잡지를 통하여 북한의 함북 웅기 굴포리(屈浦里)에서 구석기시대 후기의 문화층이 단구(段丘) 단면에서 발견되어 밀개 ·새기개 ·외날찍개 등 격지석기들이 채집된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두만강 하류 일대에서 매머드의 어금니 ·다리뼈 화석이 발견된 사실, 평남 중화군 상원면(祥原面) 동굴에서 동굴곰 ·큰곰 ·말 ·코끼리 ·코뿔소 ·물소 ·원숭이 등 대소 동물의 뼈가 발견된 사실(이로 인하여 이 동굴이 중국의 저우커우뎬에서 발견된 베이징 원인과 같은 구석기시대 전기의 인류가 살았던 동굴임을 알게 됨), 평남 평양 대현동 동굴에서 직립원인(直立原人)과 네안데르탈인의 중간형인 소녀의 두개골이 발견된 사실과, 기타 여러 가지를 발견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여러 사실에서 한국에서는 구석기시대 전기에서 후기에 걸쳐 구석기인이 스스로 만들어낸 석기문화를 이용하면서 생활을 영위하였으며, 주로 동굴 속에 살면서 석제무기로 수렵을 하다가, 기후가 온난해짐에 따라 해변 ·강변으로 나가 어로생활도 하게 되었고, 점차 정착 농경생활로 넘어간 것이라 생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의 구석기시대문화 (두산백과)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유적지에서 출토된 전기구석기시대의 석기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1. 하천의 유로에 따라서 거의 같은 높이의 평탄한 언덕이 연속되고, 유로인 하상을 향하여 계단 모양으로 낮게 배열되어 있는 지형을 말하며 하성단구라고도 한다. [본문으로]
  2. 석기(石器)를 제작할 때 원재(原材)에서 격지[剝片]를 떼어낸 나머지 돌 [본문으로]
  3.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석기로서 정형화한 석기를 사용하기 이전에 인류는 자연 돌덩이[石塊]를 그대로 도구로서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