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전세계의 지형으로 살펴보는 문명


원 출처 : 에펨코리아



이 지도들은 기존 지형도들이 수직적인 높이가 부족해 지형을 알아보기가 힘들어

해발고도를 몇배 더 높여서 지형을 체감시켜주는 지도입니다.



남미 칠레의 척박한 환경을 나타내는 안데스 산맥이 남미 서해안선을 따라 높이 솟아있습니다.

세계 3대 옥토라고 불릴정도로 크나큰 농업,목축 생산을 보여주는 아르헨티나의 팜파스 지대가 펼쳐져있습니다.




미국 서부와 멕시코 상부입니다.

왼쪽 산지들 사이에 움푹 들어간 산지가 바로 캘리포니아 주 입니다.

그 아래 작은 섬들 네다섯개와 면해있는곳이 로스앤젤레스.

북쪽에서 내려오는 산맥이 로키산맥이고, 가운데 떨어져있는 산지들이 유명한 옐로우스톤입니다.




알래스카의 모습, 아래로 길게 이어진 열도가 바로 알류산 열도.

미국이 애치슨 라인을 설정할때 알류산으로부터 기준을 잡았고, 북한이 남한을 침공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의 북유럽 지역.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척박한 지형과 추운 기후를 통해 바이킹들이 왜 배타고 약탈을 하러다녔는지 알수 있습니다.




프랑스의 국력의 원천이 된 프랑스의 드넓은 평야지대가 눈에 띄고.

'피레네 이남은 아프리카'라는 말을 나폴레옹이 남기게한 범인인 피레네 산맥은 스페인과 프랑스의 사이를 가로막고있습니다.

실제로 스페인은 유럽 중앙에 얽힌 역사보다는 북아프리카의 이슬람과 싸우는 역사가 더 길었습니다.


아래쪽에는 아프리카의 아틀라스 산맥과 스페인 남부 시에라네바다 산맥이 지브롤터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이어지다 끊긴듯이 떨어져있습니다. 실제로 저곳은 지중해의 출구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충지이기 때문에, 영국이 점령하고 내어주지 않고있습니다.




이탈리아 경제의 중심이 왜 북부인지 알 수있는 사진.

이탈리아의 아펜니노 산맥이 급격하게 우회하며 알프스 산맥과 이어져있고, 

그 사이의 평지에 밀라노나 베네치아 같은 대도시들이 다수 포진되어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에 물음표 모양으로 분지를 만들고 있는 산맥은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1차대전, 2차대전을 통해 헝가리의 영토는 줄어들었지만

과거 카르파티아 산맥이 감싸고 있는 저 평원은 온전히 모두 헝가리 왕국의 땅이었습니다.




소아시아라고 불리기도 하는 유럽 역사에 중요한 장소, 아나톨리아 반도입니다.

옹기종기 섬들이 모여있는 바다가 에게해이고 그 기준으로 왼쪽이 현재의 그리스이고, 오른쪽의 아나톨리아 반도가 현재의 터키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듯이 그리스와 아나톨리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이어주는 요충지였고.

그렇기 때문에 비잔티움(동로마), 셀주크 튀르크, 오스만 제국 등 수만은 대제국들의 근거지가 되었습니다.

아나톨리아와 그리스가 이어지는 부분에 있는 도시가 바로 이스탄불(콘스탄티노플)입니다.


오른쪽의 사막지대가 기독교의 발상지인 레반트 지역입니다.

가운데 아래쪽에는 가장 오래된 문명인 이집트 문명을 키운 원동력. 비옥한 나일강 삼각주가 보입니다.


  

지중해에 펼쳐진 그리스 폴리스들 - 스페인부터 크림반도까지




아래쪽 페르시아만을 기준으로 아래쪽은 사우디 아라비아, 위쪽은 이란입니다.


이란고원은 과거 페르시아 제국이 융성했던 지역으로 대부분의 땅이 고원지형입니다.

아나톨리아/이집트/메소포타미아/이란 등 페르시아는 다양한 문명을 정복하며 최초의 세계제국으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그러한 이란 고원의 위쪽에는 세계 최대의 호수 카스피해가 있습니다.

카스피해 왼쪽의 직선 산맥은 캅카스 산맥으로 러시아와 서아시아를 구분하는 장벽이 됩니다.

UFC 파이터 하빕의 고향도 캅카스이고, 소련의 독재자 스탈린도 캅카스 출신입니다.




인도입니다. 인도 남부의 넓은 고원은 데칸고원입니다.

데칸 고원 위로 펼쳐진 넓디 넓은 평야는 힌두스탄 평원으로, 

현재에도 대도시들의 다수가 저기에 위치해있고 과거 인도의 대제국들도 저곳을 근거지로 했습니다.


힌두스탄 위쪽의 장막처럼 펼쳐진 산맥이 바로 난공불락의 히말라야 산맥이고

그 너머로 펼쳐진 높은 고원은 바로 티베트 고원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은 중국와 인도라는 바로 옆에 위치한 거대한 문화권이 섞이지 않고 유지될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아래쪽에 테즈메니아 섬이 있고, 그위로 호주 본토에는 동해안을 따라 산지가 펼쳐져 있는데

그 산지를 따라 브리즈번, 맬버른, 캔버라, 시드니 등 호주의 대도시들이 죽 이어집니다.


호주의 드넓은 대천정 분지와 사막이 보입니다.

실제로 호주 인구인 2400만명 중 98%가 동서 해안의 대도시에 거주하고, 드넓은 사막에는 단 2%만이 삽니다.




뉴질랜드입니다. 남섬의 척박한 산지와 빙하지형이 보입니다.

만년설로 뒤덮힌 산지가 서던 알프스 산맥입니다.




인도와 중국의 사이에 위치한 인도차이나 반도입니다.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미얀마 등 우리가 아는 동남아 입니다.


동쪽 해안선을 따라 쭉뻗은 산맥은 베트남과 라오스를 구분해주는 안남산맥이고,

서쪽에는 미얀마의 지붕 아라칸 산맥이 뻗어있습니다.


베트남은 나라 크기에 비해서 쌀을 많이 수출하는 나라로 유명해서 쌀 수출국 순위로는 3위로 랭크가 될 정도인데, 여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이유는 농사를 짓기에는 최적의 지형이라고 불리는 삼각주를 2개나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3번째 사진 -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 4번째 사진 - 베트남 남부 메콩강 삼각주)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쌀 생산량만 해도 무지막지하게 많은 수준으로, 홍강 삼각주는 이모작이 가능하고 메콩강 삼각주는 3모작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삼각주 지형이기 때문에 홍수 때 상류로부터 떠내려 온 질 좋은 토질이 홍강 삼각주와 메콩강 삼각주의 벼에 좋은 영양분을 제공하기까지 하기 때문에 벼농사를 지을 때 쌀 생산력에 큰 보탬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즉, 베트남은 농사를 짓기에 비옥하고 좋은 지형인 삼각주를 북부,남부 지역 2지역이나 가지고 있는데다가, 삼각주 지형의 특성상 평야가 넓게 분포한다는 점, 게다가 기후도 홍강 삼각주는 아열대 기후에, 메콩강 삼각주는 열대 기후라서 2모작과 3모작이 가능하다는 점이 베트남을 세계 3위의 쌀 수출국으로 만들어준것입니다. [출처: 베트남이 전 세계 쌀 수출국 3위인 이유]




오른쪽 위의 드넓은 평야가 바로 중원.


수천년 동안 사람들이 살면서 전쟁과 농사 등으로 지력을 다써버리고 기후 변화 등으로 황하강의 농업 생산량은 현재 매우 낙후된 상태지만 당시 황하강 유역의 중원은 고대 중국에서 물량을 사기급으로 뽑아내던 지역.


왼쪽 아래 산들 사이의 분지가 촉나라의 근거지인 사천.

당시 정글기후에 개발이 되지 않아 사람이 살기에 척박했던 양쯔강 유역의 오나라.

이 둘은 지형상으로도 위나라에게 비비기가 힘들었던것.




한국과 일본은 대다수가 산지인데, 일본은 도쿄지역에 칸토평야를 가지고있습니다.


왼쪽 저멀리 위쪽에 보이는 사막이 황사의 근원지인 고비사막입니다.

한반도 위쪽에는 만주벌판이 자리잡고 있으며, 

러시아 연해주와 맞닿아 있는 오른쪽의 분지는 삼강평원으로, 오늘날 동북삼성의 최고 곡창지입니다.


동국지도 초기 수정본 계열 팔도지도 해안지역에는 진보(해안진지) 내륙에는 역원(관원들이 출장중 쉬는곳)을 사각표 내에 표기하였다. 인천에는 제물진(濟物鎭)이 설치되어 水軍萬戶가 주둔하였으나 효종(1649~1659)때 강화도로 옮겼기에 舊濟物이라 표기되어 있다. 또한, 효종이 북벌계획을 수립할 때 제물포에서 강화도로 가는 수로를 개척하여 유사시 왕이 머물를 수 있는 행궁을 월미도에 지었다. [출처: 고 지도로 본 제물포]




  

실제 일본 간토평야의 모습

후지산이 괜히 영산으로 취급받는게 아닙니다. 도쿄 도심에서 후지산 까지 100 km 가 넘을 건데 그 거리까지 제대로 된 산이 없고, 중간 산의 시야 방해 없이 그 멀리서 흰 봉우리가 떡하니 보이니깐 예로부터 각별하게 취급받았겠죠. 저 평야 면적이 강원도만할겁니다. 저기에 건물들이 빼곡히 들어와있고요. 저런 땅에 일찍이 도시 계획 이론 따윈 없던 근대 부터 사람들이 모여살았으니 난개발은 필연적이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