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한국의 고대사

이진아의 지구 위 인류사

 

 

이진아 환경·생명 저술가 (sisa@sisapress.com)

[인터뷰] 신간《지구위에서 본 우리 역사》낸 환경역사학자 이진아 작가 

환경 변화 적응 방안은 ‘교과서대로 살지 않는 것’ (시사저널 2017.12.08)

 

 

 

동그라미가 쳐져 있는 부분은 왼쪽에서부터 로마, 그리스, 그리고 한국이다. 유라시아 대륙 전체에서 외관으로 볼 때 가장 닮은 모습을 하고 있고, 위도도 비슷하다. 셋 다 대륙에 붙어 있는 반도라는 게 공통된 특징이다.

 

 

(가야사 편) 한국은 해상왕국이었다 (상)  시사저널 2017.01.24 

 

[이진아의 지구 위 인류사(가야사 편)] 한국은 해상왕국이었다 (상) - 시사저널

유라시아 대륙의 지도를 보자. 동그라미가 쳐져 있는 부분은 왼쪽에서부터 로마, 그리스, 그리고 한국이다. 유라시아 대륙 전체에서 외관으로 볼 때 가장 닮은 모습을 하고 있고, 위도도 비슷하

www.sisajournal.com

 

(가야사 편) 한국은 해상왕국이었다 (하)  시사저널 2017.01.31

 

[이진아의 지구 위 인류사(가야사 편)] 한국은 해상왕국이었다 (하) - 시사저널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요인들이 등장하면서 서기 1세기 무렵 한반도 남부 지역에 무수히 작은 해상국가들이 존재했었다는 가설에 갑자기 힘이 실리게 된다. 해안지역을 개발하면서 아주

www.sisajournal.com

 

 

 

 

(가야사 편) 《가락국기》는 단순 설화일까? (상)

시사저널 2017.02.02

 

(가야사 편) 《가락국기》는 단순 설화일까? (하)

시사저널 2017.02.14

 

(가야사 편) '쌍어 문양'의 비밀

시사저널 2017.02.19

 

(가야사 편) 지워진 기억, 해상대국의 역사

시사저널 2017.02.24

 

(가야사 편) 국가는 바다 위에도 있을 수 있다

시사저널 2017.03.02

 

(가야사 편) 해상국가 가야의 위용, 그리고 망각의 역사

시사저널 2017.03.13

 

(가야사 편) 가락국의 영토는 육지 대신 바다로 연결돼 있었다

시사저널 2017.03.17

 

(가야사 편) 북으론 낙동강을 따라, 남으론 바다 건너 영토를 넓힌 가야

시사저널 2017.03.22

 

(가야사 편) 가야 남쪽 경계의 비밀을 풀어줄 열쇠

시사저널 2017.03.29

 

(가야사 편) 일본인 유전자 지도에 담긴 역사

시사저널 2017.04.06

 

(가야사 편) “규슈 지방 요괴 ‘가랏파’는 가야인의 오랜 기억 허구화된 것”

시사저널 2017.04.07

 

(가야사 편) '원숭이'가 '가랏파'를 제압했다?

시사저널 2017.04.10

 

(가야사 편) 돌 하나에서 찾은 역사의 실마리

시사저널 2017.04.26

 

 

 

(세계사 편) “과학은 거짓말 하지 않는다”…古천문학서 찾은 새 역사

시사저널 2017.05.08

 

(세계사 편) ‘기후변화’ 새로운 역사보기의 실마리

시사저널 2017.06.01

 

 

 

새로운 발상 패러다임에서 입각해서 우리 민족의 과거를 다시 보기로 하자. 과연 박창범 교수의 지도가 제시했듯이, 또 최근 속속 새로운 주장으로 제기되듯이, 우리 민족이 과거에 상상을 초월하는 큰 판에서 놀았던 사람들일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익숙해졌던 ‘역사 보기’의 방법, 심지어 민족이나 국가를 규정하는 방식까지 버려야 할지 모른다. 이미 주류 역사학에서 인정할만한 근거는 다 사라졌거나 왜곡됐을 게 뻔한 상황이다. 새롭게 역사를 구성하려면 상상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실적인 가치가 있는 상상을 하려면, 역시 사실에서 출발해야 한다.   

역사학적 근거가 충분히 남아 있는 다른 지역의 역사는 기후변화와 맞물려 어떤 변화를 보였을까? 흔적이 거의 지워져버린 우리 역사를 복원하기 위해, 먼저 세계사, 그 중에서도 비교적 고증이 잘 되어 있는 유럽 지역의 역사를 참고하는 게 도움이 될 것 같다. 유명한 몇 장면들이 기후변화와 어떻게 연동되어 나타났고 흘러갔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유럽사 편) ‘비옥한 초승달’ 지역 초토화시킨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의 이야기

수메르의 최고의 영웅? 최악의 환경파괴범?

시사저널 2017.06.15

 

(유럽사 편) 기후변화와 산림자원 황폐화가 부른 테베의 건국

시사저널 2017.06.23

 

(유럽사 편) 이집트 공포에 떨게 한 ‘바다 사람’과 기후 변화

‘이집트 태양왕’ 람세스 대왕이 가장 무서워했던 존재

시사저널 2017.06.30

 

(유럽사 편) 배에 가족과 가축 싣고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떠나온 ‘보트 피플’

‘바다 사람들’은 정말 사라졌을까

시사저널 2017.07.07

 

(유럽사 편) ‘바다 사람들’이 고대 그리스 문명에 남긴 흔적들

‘암흑기’에서 시작되는 그리스 문명사

시사저널 2017.07.12

 

(유럽사 편) 카르타고와 로마의 힘겨루기, 기후는 로마의 손을 들어주었다

왜 한니발 장군은 코끼리를 타고 알프스를 넘었을까?

시사저널 2017.07.14

 

(유럽사 편) 로마가 끝나자 세계가 끝나버렸다?

시사저널 2017.07.26

 

(유럽사 편) 한랭기 기후변화가 낳은 중세 스페인 예술

시사저널 2017.08.03

 

(유럽사 편) 십자군 기사와 베니스의 상인

시사저널 2017.08.09

 

(유럽사 편) 소빙하기의 나무들, 근대 문명을 만들다

시사저널 2017.08.25

 

(유럽사 편) 근대 질서 만들어준 총, 균, 그리고 환경변화

시사저널 2017.09.01

 

(유럽사 편) 지구 위에서 본 근대

시사저널 2017.09.08

 

 

 

 

 

21세기는 ‘거대한 가속도의 시대’ - 시사저널

근대 사상계의 큰 별 중 하나인 영국의 정치철학자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는 근대의 정치세계를 가리켜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고 한 적이 있다. 근대 이후의 경제세계는 “만인에 대

www.sisajournal.com

 

 

한반도에서 인류 최초의 문명이 발생했다? - 시사저널

빠르게 흔들려가는 21세기의 지구. 그 위에 자리한 한반도의 우리는 이 가속적인 변화의 세계 속에서 어떻게 방향을 잡아가야할까?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인간은 언제나 역사를 되돌

www.sisajournal.com

 

 

인류 최초의 문명, 주인공은 누구의 조상이었을까? - 시사저널

제5의 문명이라고 불리는 요하문명, 사실은 연대순으로 봐서는 제1의 문명인 셈이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정교한 무기 및 생활 집기를 사용하는 집단생활을 했고 특정한 신앙체계를 기초로 규

www.sisajournal.com

 

 

유라시아의 동쪽, 한반도가 가장 앞선 지역이었던 이유 - 시사저널

요하문명 관련 담론과 관련해서 몇 가지 궁금증이 생기게 된다. 첫째, 요하문명의 주역들은 정말로 중국인의 조상이라기보다는 한반도에 사는 사람들의 조상이었을까? 둘째, 그렇다면 한반도는

www.sisajournal.com

 

 

흑요석은 고조선 사람들의 '성공 조건'이었다 - 시사저널

《붕괴(Collapse)》. 짧고 임팩트 있는 제목의 이 책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지리학과 교수이며 뛰어난 환경역사학자이기도 한 제레드 다이어몬드의 2005년작이다. (우

www.sisajournal.com

 

 

요하문명은 왜 갑자기 끝났을까? - 시사저널

요하문명에 관련된 세 가지 의문이 있었다. 첫째, 과연 요하지방을 포함한 한반도 일대에서 세계 최초의 문명이 있었을까? 둘째, 있었다면 그 문명의 주역은 지금 중국인의 조상일까 한국인의

www.sisajournal.com

 

 

게놈 추적으로 밝혀낸 역사, 한반도에서 서시베리아로... - 시사저널

요하문명을 붕괴시킨 급속한 한랭화 경향은 약 500년간 지속됐고, 그로부터 본격적인 한랭기가 또 약 500년 동안 이어졌다. 계속해서 기후변화의 수레바퀴는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돌아 기원원년

www.sisajournal.com

 

 

가야라는 세계의 확장의 발판 ‘철’ - 시사저널

가야가 세계적으로도 탁월한 해상국가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을 제1부에서 보았다. 그 모습이 우리의 역사를 축소·왜곡시키려는 외세의 노력 때문에 거의 지워져왔을 가능성도 짐작할 수

www.sisajournal.com